2025년, 대한민국 정부는 고물가, 고금리,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민생회복지원금"을 전격적으로 시행합니다. 이번 지원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지원과 소득·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포함하여, 국민 개개인의 실질적인 소비 여력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이란?
민생회복지원금은 정부가 2025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긴급 편성한 재정정책으로, 국민 생활안정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소비 진작형 지원금입니다. 이번 정책은 코로나 이후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급격한 물가 상승, 에너지 요금 인상 등의 복합적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기본적으로 1차 지급과 2차 지급으로 나누어지며, 일부 계층에는 추가 지원이 제공됩니다.
지급 대상 및 조건
구분 대상 금액
1차 지급 | 전국민 (소득무관) | 15만원 |
2차 지급 | 소득 하위 90% | 10만원 |
추가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 10만원 |
추가 지급 | 차상위계층 | 10만원 |
지역 가산 | 소멸지역 거주자 | 2만원 |
▶ 총 최대 수령 가능 금액: 52만원 (15 + 10 + 10 + 10 + 2)
신청 가능 대상자 세부 기준
- 전국민: 2025년 6월 30일 기준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대한민국 국민
- 소득 하위 90%: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상위 10%를 제외한 전 세대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 대상자
- 차상위계층: 자활참여자, 한부모가족, 장애수당 수급자 등
- 소멸지역: 정부가 지정한 인구감소 지역, 농산어촌 고령화 지역 등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식으로 가능하며, 정부24와 주민센터를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서(카카오, PASS 등) 로그인
- 보조금24 → 민생지원금 신청 클릭
- 본인 인증 및 대상 확인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오프라인 신청
- 관할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담당 공무원 상담 후 신청서 작성 및 접수
※ 고령자, 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은 현장방문이 권장됩니다.
- 대상자 조회: 2025년 6월 28일부터
- 신청 시작일: 2025년 7월 1일부터
- 1차 지급 시기: 2025년 7월 8일부터 순차 지급
- 2차 지급 시기: 2025년 8월 초 (소득하위 90% 대상)
- 신청 마감일: 2025년 7월 31일
▶ 지급은 각 지자체 상황에 따라 3~5일가량 차이 날 수 있음
지급 방식 및 사용처
지급 방식
- 카드 포인트 (국민, 신한, 삼성 등 제휴사 선택)
- 지역화폐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등)
사용 가능 업종
- 전통시장, 편의점, 음식점, 약국, 학용품점, 의류매장 등
사용 제한 업종
- 유흥주점, 카지노, 고급 골프장, 귀금속점 등
유효 기간
- 지급일로부터 3개월 내 사용 권장
- 미사용 시 소멸될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FAQ)
Q. 외국인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원칙적으로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만 해당되며, 결혼이민자 등 일부 외국인은 지자체별 예외 인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Q. 가족 전체가 받을 수 있나요? A. 개인 단위 지급이며, 가족구성원 개별 신청 가능합니다. 단,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이 신청해야 합니다.
Q. 신청 후 언제 받을 수 있나요? A. 신청 후 3~7일 이내 지급되며, 신청 초기에는 접수량 증가로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Q. 온라인 신청이 어렵다면 어떻게 하나요? A. 주민센터에서 오프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디지털 취약계층 지원도 병행됩니다.
항목 | 내용 |
기본 지원 | 전국민 15만원 |
추가 지원 | 소득 하위 90% +10만원, 수급자 +10만원, 소멸지역 +2만원 |
최대 수령 | 52만원 |
신청 방법 |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
신청 기간 | 2025.07.01 ~ 2025.07.31 |
지급 방식 | 카드 포인트, 지역화폐 등 |
사용 기한 | 약 3개월 (지급일 기준) |
- 청년월세지원금: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원 지원
-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환급제: 에너지 효율 1등급 가전 제품 구매 시 최대 30만원 환급
- 출산장려금: 지역별 출산지원금 최대 300만원까지 차등 지급
- 근로장려금(EITC): 저소득 근로자 가구에 연 300만원 이상 지원
이러한 제도들과 병행 신청하면 가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