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대한민국은 저출생 위기 속에서 출산장려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셋째아이 이상 출산 가정에 대한 지원은 전국 대부분 지자체에서 확대되고 있어, 각 지역별 혜택을 제대로 알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셋째아이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장려금, 양육지원금, 주거 지원, 교육비 혜택 등을 지자체별로 비교 정리해드립니다.
지금 내 지역에서는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어디가 더 많은 혜택을 주는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셋째아이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정부·지자체 지원금은?

셋째아이 출산 가정에 지원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 지원 항목

구분                                                               지원 내용
출산장려금 현금 또는 지역화폐로 지급 (일시금 또는 분할 지급)
양육지원금 셋째아이 월 단위 양육비, 돌봄비
부모급여 정부 공통 월 100만 원 (24개월 미만)
산후도우미 최대 90%까지 정부 지원
육아용품 지원 유모차, 카시트, 기저귀, 분유 등 현물 제공
주거지원 전세자금, 공공임대 우선권 등
교육비 지원 유치원, 초등 입학축하금 또는 학습비
정부 지원 + 지자체 추가 지원을 함께 받는 구조입니다.

 

 

 

 

📌 지역별 셋째아이 출산장려금 비교표 (2025년 기준)

📍 수도권 주요 지자체

지역                                          출산장려금                                규모                                       지급 방식비고
서울 노원구 3,000,000원 현금 + 분할 지급 셋째부터 지급 시작
서울 송파구 2,000,000원 일시금 별도 양육수당 있음
경기 수원시 1,000,000원 지역화폐 추가 출산 선물 제공
경기 시흥시 3,000,000원 일시금 현금 지급
인천 서구 3,000,000원 분할 지급 총 3년간 지원

 

📍 충청권 주요 지자체
지역                                                     출산장려금                                                       특징
세종시 3,000,000원 둘째부터 지급
대전 유성구 1,000,000원 셋째부터 지급
충북 청주시 2,000,000원 + 부모급여 총 24개월 분할 지급 가능
충남 논산시 5,000,000원 이상 셋째아부터 5년간 양육지원
📍 전라권 주요 지자체
지역                                        출산장려금                                                    특징
전북 군산시 2,000,000원 매년 분할지급 (총 24개월)
전남 순천시 3,000,000원 출산축하금 + 양육지원 분리지급
전남 해남군 최대 60,000,000원 1자녀당 총 양육지원 포함(지역 최고)
📍 경상권 주요 지자체
지역                                         출산장려금                                            특이사항
대구 북구 1,500,000원 셋째아부터 지급
경북 예천군 총 10,000,000원 5년간 월 16만원 양육비 + 출산축하금
부산 기장군 2,000,000원 현금 일시금
경남 거창군 3,000,000원 3년 분할 지급
📍 강원·제주 지역

 

지역                                                   출산장려금                                                   비고
강원 정선군 5,000,000원 이상 농어촌 가산금 추가 지급
제주 서귀포시 2,000,000원 출산지원금 외 육아용품 별도 지원

 

 

 

  • 출산일로부터 1개월 이내 신청 권장
  • 일부 지역은 3개월까지 유예 가능

🔸 신청 장소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 각 지자체 보건소
  • 또는 지자체 복지포털, 시청 홈페이지

🔸 제출서류

서류명                                                                                                        비고
출생신고서 주민센터 등록 필수
통장사본 본인 또는 보호자 명의
가족관계증명서 셋째아이 확인용
주민등록등본 거주지 확인용
신청서 해당 지자체 양식 작성

Q1. 첫째, 둘째는 지원 안 되나요?
A. 대부분 지자체는 셋째부터 본격적인 출산장려금을 지원하지만, 일부는 둘째부터 지원합니다.

Q2.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가면 어떻게 되나요?
A. 거주 지역 기준으로 신청하며, 이전 지역에서 출산 후 신청했다면 혜택 유지 가능, 단 일부 지역은 거주기간 요건이 있습니다.

Q3. 출산장려금 외에도 다른 혜택이 있나요?
A. 네, 주거 지원, 보육료, 교육비, 유모차·기저귀 지급, 산후도우미 지원 확대 등 복합적으로 지원됩니다.

출산장려금 잘 받는 팁

  • 출산 후 바로 출생신고주민센터 방문신청
  • 정부24 보조금24 서비스에서 본인 혜택 먼저 확인
  • 양육수당, 부모급여, 산후도우미 지원과 함께 통합 신청 가능
  • 지역 전입 예정인 경우 미리 거주기간 요건 확인

요약 정리

항목                                                                       내용
대상 셋째아이 이상 출산가정
지원금액 지자체별 100만 ~ 5000만 원 이상
지급방식 일시금, 분할, 지역화폐 등 다양
신청장소 주민센터, 보건소, 시청, 정부24
신청기한 출산일 기준 1~3개월 이내
📌 함께 보면 좋은 관련 글

마무리 한마디

셋째아이 출산은 그 자체로 가정에 큰 축복이며, 국가와 지역이 적극적으로 돕고자 하는 영역입니다.
2025년 현재 셋째아이 출산장려금은 지역에 따라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지원되며, 추가로 양육비, 산후도우미, 부모급여 등 여러 혜택이 함께 주어집니다.

한 아이 더 낳을수록 혜택이 커지는 만큼, 정확한 정보로 빠짐없이 챙기고 신청기간도 꼭 지켜야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많은 분들이 소중한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